연근 먹는 시기
연근은 연꽃의 뿌리줄기입니다. 식감이 아삭해서 씹는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구멍이 있는 모양으로 여러 가지 요리에 활용됩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예로부터 많이 먹어 온 식재료입니다. 연꽃은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성한 식물로 여겨 고대 인도와 중국에 그 뿌리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자생하거나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구멍이 뚫려 있는 연근의 모양 때문에 앞날을 볼 수 있다는 의미로 새해 요리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연근은 주로 9월~3월까지 수확하며 특히 10월~2월 사이의 연근은 가장 맛이 좋고 식감이 아삭하며 단맛이 돕니다. 연근은 연못이나 저수지 등에서 자라는 수생 식물로 진흙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지역에서 잘 자랍니다. 국내 주요 산지로는 충남 부여, 전남 무안, 전북 고창, 경남 창녕 등이 있으며 충남 부여는 특히 백제 시대부터 연꽃과 연근 재배를 많이 했던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전남 무안은 평야 지대에 습지가 많은 환경에서 자라 껍질이 얇고 연한 품종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북 고창의 연근은 유기농 재배가 많아서 타 산지보다 유통량이 적고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지만 품종을 다양하게 재배해서 다양한 용도의 연근을 생산합니다. 경남 창녕의 연근은 대량 생산되는 장점이 있지만 품질 편차가 있을 수 있어서 구입 시 선별해서 구매를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해외 산지로는 중국, 일본, 인도 등이 있습니다. 중국은 특히 세계 연근 최대 생산국으로 중국에서는 연근을 음식뿐만 아니라 약재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중국의 연근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품종이 있으나 일부 품목은 농약이나 방부제 잔류 문제가 있어서 안정성 확인이 필요합니다. 인도에서는 연근을 해독제나 강장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인도 연근은 한국 시장에 거의 수입되지 않고 품질 관리 체계가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연근의 영양, 효능 및 부작용
연근은 탄수화물,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C, 칼륨, 철분, 마그네슘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연근에는 비타민C가 풍부해서 면역 세포 활성화와 항산화 작용을 도우며 감기 예방이나 면역 강화,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 노화 방지에도 효과적입니다. 연근의 타닌 및 뮤신 성분은 점막을 보호하고 염증 완화에 도움을 줘서 예로부터 연근차는 기침, 천식, 기관지염 치료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건조한 기관지나 알레르기성 비염 완화에도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근의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변비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연근의 식이섬유는 식후 더부룩함이나 속 쓰린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되어 소화를 돕고 장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연근은 칼륨 함량이 높은 식품이기 때문에 나트륨 배출을 돕고 고혈압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동맥 경화 예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심혈관 건강에 좋습니다. 도한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에도 좋으며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연근의 철분 성분은 체내 혈액 생성과 빈혈 예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여성이나 성장기 청소년들이 섭취하면 좋은 식품입니다. 연근은 약재로도 많이 쓰이는데 이는 간을 보호하고 독소 배출을 돕는 폴리페놀과 알칼로이드 성분이 가지는 효능 때문입니다. 연근의 비타민 B군과 마그네슘은 뇌기능을 돕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집중력이나 수면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연근의 염증 억제 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와 타닌성분은 위암, 대장암, 간암 등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으로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연근은 껍질을 벗기면 빠르게 갈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식초물에 담가서 갈변 현상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날것으로 섭취했을 때 기생충의 위험이 있으므로 익혀서 섭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연근에는 식이섬유가 많아서 과다 섭취 시 복부 팽만이나 복통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손질 및 요리법
연근은 흙이 묻은 채로 보관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냉장 보관 시에는 물기를 제거하고 밀폐 용기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연근은 껍질에 흙이 묻어 있고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물로 여러번 깨끗이 씻은 다음 감자칼이나 칼로 얇게 껍질을 벗깁니다. 갈변 방지를 위해서 물에 식초 1~2큰술 넣어 5~20분 정도 담가 둡니다. 생연근에는 아린 맛이 있기 때문에 요리하기 전에 소금을 넣고 살짝 데치면 아린 맛이 없어집니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요리로는 연근 조림이 있습니다. 연근 조림은 연근을 동그란 모양으로 슬라이스한 다음 식초물에 10분 정도 담가서 갈변을 방지하고 아린 맛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한번 데친 연근을 냄비에 넣고 물, 간장, 맛술, 설탕 등을 넣고 조립니다. 약 15~20분 정도 조린 후에 올리고당을 넣고 마지막에 참기름과 깨를 넣고 완성합니다. 연근전은 연근을 동그랗게 썰고 연근의 구멍 뚫린 부분에 다진 고기나 채소, 새우 등을 연근 사이에 넣고 연근 두 개를 붙인 후 밀가루 옷을 입히고 계란물을 묻혀서 부쳐 먹는 전 종류입니다. 연근의 아삭한 식감과 부드러운 소가 잘 어울리는 음식입니다. 연근 튀김은 연근을 얇게 썬 뒤 튀김옷을 입혀서 바삭하게 튀겨 먹는 음식으로 술안주나 간식으로 많이 먹습니다. 연근 샐러드는 연근을 살짝 데쳐서 참깨 소스나 유자 폰즈 소스등에 버무려서 먹는 음식으로 다이어트 요리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연근 피클은 데친 연근을 식초, 설탕, 물, 소금으로 만든 피클 액에 담가서 1~2일 냉장고에서 숙성한 후 먹는 음식으로 새콤달콤한 맛 때문에 반찬이나 샐러드 토핑으로 좋습니다. 연근차는 한방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차로 말린 연근을 끓어서 차로 마시면 기침이나 기관지 건강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