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제철 음식(겨울)-연근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연근 먹는 시기연근은 연꽃의 뿌리줄기입니다. 식감이 아삭해서 씹는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구멍이 있는 모양으로 여러 가지 요리에 활용됩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예로부터 많이 먹어 온 식재료입니다. 연꽃은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성한 식물로 여겨 고대 인도와 중국에 그 뿌리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자생하거나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구멍이 뚫려 있는 연근의 모양 때문에 앞날을 볼 수 있다는 의미로 새해 요리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연근은 주로 9월~3월까지 수확하며 특히 10월~2월 사이의 연근은 가장 맛이 좋고 식감이 아삭하며 단맛이 돕니다. 연근은 연못이나 저수지 등에서 자라는 수생 식물로 진흙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지역.. 2025. 4. 25.
제철 음식(가을)-무화과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무화과 먹는 시기무화과는 약 5000년 전 고대 중동에서 유래된 과일로 아담과 이브가 무화과 잎으로 몸을 가렸다는 너무나 유명한 성서 이야기와 고대 이집트에서 무화과를 종교의식과 제사에 사용한 기록 등 인류가 아주 오래전부터 먹어 온 과일입니다. 무화과는 8월 중순~10월 초순까지 가장 맛있는 제철이며 이 시기의 무화과는 당도가 가장 높고 과육도 가장 부드럽습니다. 가을에 무화과가 가장 맛있는 이유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고 충분한 일조량이 과일의 당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무화과는 따뜻하고 건조한 날씨에서 잘 자라는 과일로 겨울이 너무 추운 지역에서는 재배할 수 없습니다. 주요 산지는 경남 창녕, 전남 고흥, 전북 익산 등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주로 재배합니다. 최근에는 전남 무안, 제주도에서도 재배하는.. 2025. 4. 23.
제철 음식(가을)-송이버섯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송이버섯 먹는 시기가을 하면 떠오르는 식재료 중 송이버섯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송이버섯은 깊은 맛과 향으로 유명해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가을 제철 음식입니다. 송이버섯은 고려시대부터 왕실에 진상되던 음식으로 귀한 향과 맛으로 왕실이나 양반가에서만 먹을 수 있었던 고급 식재료입니다. 또한 어떤 지역에서는 송이버섯을 "산신령이 허락한 자만 볼 수 있는 버섯'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송이버섯은 채취도 쉽지 않고 또 보관 방법도 어려워서 생긴 이야기입니다. 송이버섯은 9월~11월 초에 채취하며 이때가 가장 맛과 향이 좋은 시기입니다. 송이버섯은 일교차가 큰 가을에 잘 자라며 살아 있는 붉은 소나무 근처에서 자랍니다. 또한 배수가 잘 되는 모래 섞인 산성토에서 잘 자라는데 이것은 송이버섯은 너무 습.. 2025. 4. 22.
제철 음식(가을)-대하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대하 먹는 시기대하는 9월~11월 가을을 대표하는 해산물 중 하나입니다. 이 시기에는 대하가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알이 꽉 차면서 단맛이 1년 중 가장 많이 납니다. 자연산 대하는 주로 9월~11월에 잡히는데 그 양이 한정적이어서 가격이 많이 높은 편입니다. 자연산 대하는 몸이 길고 단단하며 껍질이 단단한 특징이 있습니다. 양식산은 주로 흰다리새우라고 부르는데 말 그대로 양식이기 때문에 연중 공급이 가능하지만 식감과 풍미는 자연산에 비해 다소 떨어집니다. 자연산 대하가 가을에 제일 맛있는 이유는 산란을 앞두고 영양을 축적해서 살집이 많고 단맛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이 차 있어서 고소한 맛도 풍부해지고 찬 바닷물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노폐물 배출이 용이해서 맛이 깔끔한 특징이 있습니다. 대하의 주.. 2025. 4. 18.
제철 음식(가을)-대추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대추 먹는 시기대추는 한국, 중국, 중동, 인도 등 아시아 전역에서 아주 오래전부터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해 온 식품입니다. 한국에서도 고려시대 문헌에서 이미 대추에 관한 내용이 있을 정도입니다. 대추는 오랫동안 약재로도 쓰이기 귀한 식품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전설이나 속담 등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전통 혼례에서 신랑 부모가 신부의 한복에 밤과 대추를 던지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밤은 '다산', 대추는 '행복한 가정'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많이 낳고 가정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달하는 의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추나무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 대추나무 가지로 만든 회초리나 지팡이는 잡귀를 쫓고 나쁜 기운을 없앤다는 미신도 있습니다. 대추는 주로 9월 중순~10월 초 사이에 수확하며 이때가 .. 2025. 4. 16.
제철 음식(가을)-토란 먹는 시기, 영양, 효능, 부작용, 손질 및 요리법 토란 먹는 시기토란은 예로부터 아시아, 태평양 제도, 아프리카, 남미 일부 지역까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어 온 식재료입니다. 토란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감자처럼 생긴 뿌리줄기를 식용으로 사용하지만 줄기와 잎을 사용해서 요리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토란은 9~11월 경에 수확을 하며 10~11월이 제철로 맛과 영양이 제일 뛰어난 시기입니다. 여름에 자라서 가을에 수확하고 겨울까지도 먹을 수 있습니다. 갓 수확한 토란은 전분 함량이 높고 식감이 부드럽고 쫀득쫀득해서 맛이 좋습니다. 토란은 기온이 서늘해질수록 더 맛있어지는데 이는 일교차가 커지면 토란의 당분과 전분이 농축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12월 이후 날씨가 많이 추워지면 수분이 빠지고 맛이 덜해질 수 있습니다. 국내 산지로는 전남 나주, 해남, .. 2025. 4. 14.